불확실성 전파(Propagation of uncertainty) = 불확도 전파는
여러 독립 변수의 불확실성이 결합되어, 결과 변수의 불확실성에 영향이 미치는 정도를 계산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.
이 때 "각 측정 변수가 독립적이라고 가정"합니다.
$ x_i $ : 측정값
$ z $ : 비측정값 (계산값)
$ U_{xi} $ : 측정값
$x_i$의 불확실성 ( 측정오차 혹은 표준편차 )
$ U_z $ : 계산값 $z$의 불확실성 ( 측정오차 혹은 표준편차 )
$ U_z = \sqrt{\sum_{i=1}^{n} {\left(\dfrac{\partial z}{\partial x_i}\right)^2 U_{xi}^2}} $
위 공식의 증명은 아래와 같습니다. [1]
$z = f(x_1, x_2) $ 라고 하면, 이를 테일러 급수로 전개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.
\begin{aligned}
z = f( \overline{x_1}, \overline{x_2} ) + \pdx[x_1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1- \overline{x_1} ) + \pdx[x_2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2- \overline{x_2} ) \\ + \dfrac{1}{2!} \dfrac{\partial^2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{\partial x_1} (x_1- \overline{x_1} ) + \dfrac{1}{2!} \dfrac{\partial^2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{\partial x_2} (x_2- \overline{x_2} ) + ...
\end{aligned}
다변수 테일러급수
다변수 테일러급수
고차항을 제거하여 근사하면 아래와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.
\begin{aligned}
z = f( \overline{x_1}, \overline{x_2} ) + \pdx[x_1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1- \overline{x_1} ) + \pdx[x_2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2- \overline{x_2} ) \\ + \cancelto{0}{\dfrac{1}{2!} \dfrac{\partial^2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{\partial x_1} (x_1- \overline{x_1} )} + \cancelto{0}{\dfrac{1}{2!} \dfrac{\partial^2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{\partial x_2} (x_2- \overline{x_2} )} + ... \\
\\
= f( \overline{x_1}, \overline{x_2} ) + \pdx[x_1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1- \overline{x_1} ) + \pdx[x_2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(x_2- \overline{x_2} )
\end{aligned}
$ f( \overline{x_1}, \overline{x_2} ) = \overline{z} $ 이고
$ \pdx[x_1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 = C_1 $, $ \pdx[x_2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 =C_2 $ 라 하면 아래와 같이 간략화 할 수 있습니다.
\begin{aligned}
z - \overline{z} = C_1(x_1- \overline{x_1} ) + C_2(x_2- \overline{x_2} )
\end{aligned}
양변을 제곱하면,
\begin{aligned}
(z - \overline{z})^2 &= \{C_1(x_1- \overline{x_1} ) + C_2(x_2- \overline{x_2})\}^2 \\
\\
& = C_1^2(x_1- \overline{x_1})^2 + C_2^2(x_2- \overline{x_2})^2 + 2C_1C_1 (x_1- \overline{x_1}) (x_2- \overline{x_2})
\end{aligned}
양변에 기댓값을 취하면
\begin{aligned}
{\bf{E}}[ (z - \overline{z})^2] &= {\bf{E}} [ C_1^2(x_1- \overline{x_1})^2 ] + {\bf{E}} [C_2^2(x_2- \overline{x_2})^2 ]+ {\bf{E}} [2C_1C_1 (x_1- \overline{x_1}) (x_2- \overline{x_2})]
\end{aligned}
표준편차와 공분산의 정의에 따라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.
\begin{aligned}
\sigma_z^2 &= C_1^2\sigma_{x_1}^2 + C_2^2 \sigma_{x_2}^2+ 2C_1C_1 cov(x_1,x_2)
\end{aligned}
두 변수가 독립으로 가정했으므로 공분산은 0이 됩니다.
\begin{aligned}
\sigma_z^2 &= C_1^2\sigma_{x_1}^2 + C_2^2 \sigma_{x_2}^2+ \cancelto{0}{ 2C_1C_1 cov(x_1,x_2)}
\end{aligned}
$C_1$,$C_2$를 원래의 값을 대입하고,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\begin{aligned}
\sigma_z &= \sqrt{ \pdx[x_1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 ^2\sigma_{x_1}^2 + \pdx[x_2]{ f( \overline{x_1} , \overline{x_2} ) } ^2 \sigma_{x_2}^2}
\end{aligned}
[1] https://blog.naver.com/thesci/221574494949
'자격증.hack > 공학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린의 정리, 2차원 발산정리 (스토크스의 정리, 가우스의 발산정리) (0) | 2025.01.15 |
---|---|
기울기,발산,회전(gradient, divergence, curl) (0) | 2025.01.14 |
일반화된 연속방정식 유도 (레이놀즈 수송정리) (1) | 2025.01.05 |
베르누이 방정식(Bernoulli's equation) 유도 (0) | 2025.01.02 |
물질 도함수 (물질 미분) (0) | 2024.12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