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차원 평면에서 벡터장에 대한 그린의 정리와 2차원 발산의 정리의 공식과 그 물리적 의미를 설명합니다.
이후 3차원으로 확장되면 각각 스토크의 정리와 가우스의 발산정리가 됩니다.
2차원 평면에서 벡터장 F가 아래와 같고, 폐곡선 c와 그로 둘러싸인 영역 R에 대하여 | |
$$ \vec{F} = P(x,y) \hati +Q(x,y) \hatj$$ | |
접선방향 벡터: $$ d\vec{r} = dx \hati +dy \hatj$$ |
법선방향 벡터: $$ d\vec{s} = dy \hati - dx \hatj$$ |
경로 c를 따라 벡터장 F가 수행한 일: $$ \oint_c \vec{F} \cdot \,d\vec{r} $$ |
경로 c를 통해 나가는 벡터장 F의 flux*: $$ \oint_c \vec{F} \cdot \,d\vec{s} $$ |
$ \color{gray} = \displaystyle \oint_c (P(x,y) \hati +Q(x,y) \hatj )\cdot (dx\hati +dy \hatj )$ $ = \displaystyle \oint_c P(x,y) dx +Q(x,y) dy$ $ = \displaystyle \iint_R \left(\pdx{Q} - \pdx[y]{P} \right)\,dA $ |
$ \color{gray} = \displaystyle \oint_c (P(x,y) \hati +Q(x,y) \hatj )\cdot ( dy \hati - dx \hatj )$ $ = \displaystyle \oint_c P(x,y) dy - Q(x,y) dx$ $ = \displaystyle \iint_R \left(\pdx{P} + \pdx[y]{Q} \right)\,dA $ |
↓ |
↓ |
Green의 정리 (Green’s theorem) |
2차원 발산 정리 (Divergence Theorem in 2D) |
$ = \displaystyle\iint_R (\nabla \times \vec{F}) \,dA $ : 영역 R에 대한 벡터장 F의 회전 성분의 총합 |
$ = \displaystyle\iint_R (\nabla \cdot \vec{F}) \,dA $ :영역 R에서 생성하거나 소멸하는 벡터장의 크기(발산) |
물리적 의미 | |
경로 c를 따라 벡터장 F가 수행한 일 = 폐곡선c로 둘러싸인 영역 R에 대한 벡터장 F의 회전 성분의 총합 과 같다 |
경로 c의 표면을 통해 입출입하는 벡터장 F의 flux = 폐곡선c로 둘러싸인 영역 R에서 생성하거나 소멸하는 벡터장의 크기(발산) 과 같다 |
에너지 보존 법칙과 같은 느낌? | 질량 보존 법칙과 같은 느낌? |
3차원 확장 ↓ ↓ |
|
스토크스 정리 (Stokes' Theorem) |
가우스의 발산 정리 (Gauss' Divergence Theorem) |
*flux : 벡터장이 어떤 표면을 통과하는 양
'자격증.hack > 공학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텐서 표기법(Indicial notation) (0) | 2025.01.26 |
---|---|
기울기,발산,회전(gradient, divergence, curl) (0) | 2025.01.14 |
불확실성 전파(Propagation of uncertainty) = 불확도 전파 (0) | 2025.01.08 |
일반화된 연속방정식 유도 (레이놀즈 수송정리) (1) | 2025.01.05 |
베르누이 방정식(Bernoulli's equation) 유도 (0) | 2025.01.02 |